이제는 일상화된 스마트폰 무선충전.
전기차도 스마트폰처럼 무선충전이 된다면 얼마나 편할까?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기 위해서 충전 인프라가 더 늘어나고 충전방식도 더 편하게 개선되어야 합니다
전기차를 운용하면서 유저들이 가장 불편을 느끼는 요소가 바로 충전방식과 충전시간에 대한 문제이기 때문인데요
전기차 충전기의 연결 방식은 다양한데 그 이유는 자동차 제조사마다 하드웨어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각자의 여러 조건을 고려해 유리한 충전방식을 적용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역마다 제조사마다 충전 타입이 제각각이고 이로 인해 소비자의 불편함이 컸으며 충전 타입 통일에 대한 요구도 늘어나고 있었는데요. 다행인 것은 일단 북미에서 테슬라의 NACS 규격으로 충전표준이 급격이 통일되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최근 Ford, GM과 같은 메이저 자동차 제조사들이 향후 테슬라의 NACS 충전규격의 채택을 결정하면서 이러한 충전표준 통일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2023년 7월 말 기준 NACS 충전표준을 채택한 자동차 제조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 NACS 충전규격을 채택한 자동차 제조사 |
• 2023.05.26 : Ford
• 2023.06.09 : GM
• 2023.06.20 : Rivian
• 2023.06.27 : Volvo
• 2023.06.29 : Polestar
• 2023.06.29 : Electrify America
• 2023.07.07 : Mercedes-Benz
• 2023.07.19 : Nissan
*2023년 7월 말 기준
결국 더 많은 제조사들이 테슬라의 NACS 충전표준을 채택하는 트렌드는 계속 가속화 될것으로 보이며,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이러한 유선 충전방식은 결국 스마트폰과 같이 무선충전방식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차도 스마트폰처럼 무선충전이 가능해진다면??
현지시간 8월 3일 테슬라는 독일의 무선충전 스타트업인 와이페리언을 인수하였습니다.
과거 테슬라는 무선 충전 대신 자동화된 로봇 팔 사용해 자율주행차를 충전하는 방식을 연구해 왔는데요.
올해 초 테슬라는 투자자의 날 행사에서 가정용 무선 충전패드 시안을 깜짝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해당 사진에서 차량이 테슬라 월커넥터에 연결되어 충전되는 게 아니라 바닥의 무선 충전패드 위에 주차돼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동영상은 WiTricity라는 미국의 무선충전회사에서 개발한 무선충전패드인데요.
무선충전이 널리 보급되면 전기차 충전환경이 얼마나 획기적으로 변할지 쉽게 가늠해 볼 수 영상입니다.
물론 현재의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아직은 무선충전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충전속도가 유선 급속충전만큼 빠르지는 않을 겁니다.
하지만 차를 오래동안 세워두는 집과 같은 환경에서 무선 완속충전이 가능해진다면
충전 편리성이 극대화 될 것은 이미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 무선충전만 봐도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라 앞으로 기대가 많이 됩니다.
'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디어 테슬라 신형 모델3 하이랜드 공식 출시! | Tesla New Model 3 (0) | 2023.09.01 |
---|---|
LFP 배터리란? 장점과 단점은? | LFP 배터리 총정리 (0) | 2023.08.06 |
초전도체란? 초전도체의 종류는? 어디에 활용하나요? (0) | 2023.08.05 |
LFP(리튬 철 인산염) 배터리의 장점과 단점? 테슬라 전기차에 적용된 배터리 종류는? (0) | 2023.07.29 |
[테슬라 뉴스_2023년 7월 27일] 테슬라 Fremont 공장 3일 만에 업그레이드 완료 후 생산 재개 (0) | 2023.07.28 |